진단명 Diagnosis
- 2형당뇨병 (Type 2 diabetes mellitus. T2DM, 2型糖尿病)
- 고지혈증 (Hyperlipidemia, 高脂血症)
- 다약제복용(Polypharmacy, 多藥劑服用)으로 인한 부작용(adverse effect) - 간기능 검사의 이상, 염증 수치의 증가, 백혈구수 감소, 불면, 불안, 수면장애 등
- 간기능 검사의 이상 - AST(Aspartate aminotransferase), 젖산탈수소효소(Lactate dehydrogenase, LDH)의 상승
주소증 및 부증 Chief Complaint & Secondary Complaints
주요 병력 Major Medical History
- 양방내과에서 2달에 한 번 약물 처방
- 당뇨는 4개월에 한번씩 당화혈색소 검사 - 당뇨관련 약물은 2021년 12월 부터 복용
- 고지혈증과 관련한 약물 복용은 1년 넘음
- 부적절한 다약제복용(inappropriate polypharmacy)
- 당뇨병 및 고지혈증에 관련된 약뿐만 아니라 편두통, 수면장애, 여성호르몬제까지 포함하여 모두 9종류의 약물을 사용 중
치료 결과 Result
- 당뇨병의 관해 - 약물 복용 없이 정상범위 당화혈색소를 3개월 이상 유지
- 약물 복용 없이 건강한 범위의 지질 수치 유지
- 간기능의 정상화
-
- 기타 자세한 결과는 의료법상 비엠한방내과 네이버카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위 환자분은 당뇨병과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한의학적인 치료 및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비엠한방내과를 내원하셨습니다.
이에 비엠한방내과의 의료진은 한의학적/진단의학적 검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
- 당뇨병
- 고지혈증
- 다약제복용으로 인한 부작용(adverse effect)
등 범주의 질환으로 진단하고, 우리 몸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한의학적 관점에 따라 심비양허(心脾兩虛) 또는 기음양허(氣陰兩虛)으로 변증(辨證)한 후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.
약 6개월(2022년 4월 ~ 9월)의 집중 치료 계획 하에 대사전환 프로그램(중증)을 진행하였으며, 이 기간 동안 한의학적 치료 도구를 기반으로 한 포괄적 개입을 통해 집중적인 치료 및 관리가 이뤄졌습니다.
내원 당시, 위 환자분은 아래의 표에 나와있는 당뇨병, 고지혈증에 관련된 약물 뿐만 아니라, 편두통, 수면장애, 여성호르몬제까지 포함하여 모두 9종류의 약물을 복용하고 계셨습니다.
하지만, 한의학적 치료 시작과 함께 고지혈증에 관련된 약물 및 여성호르몬제는 복용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고, 당뇨에 관련된 약물 역시 대사전환 치료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신체 변화를 감안하여 복용을 중단한 후 혈당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하기로 하였습니다.
그 결과, 치료 4주차가 되었을 때, 간기능 및 세포 손상 정도가 현저히 개선되었고, 지질 검사상, 총콜레스테롤 및 HDL 수치의 개선이 이뤄졌으며, 염증 수치, 백혈구 수치가 개선되어 정상 범위로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또한, 인슐린 작용 증강제(Metformin)을 복용하지 않으셨음에도 불구하고 당화혈색소 수치는 4주 만에 오히려 6.2 %에서 6.0 %로 감소하여 체내 혈당이 안정적으로 잘 유지되었고, 이러한 결과를 통해, 다약제 복용(polypharmacy)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이 서서히 해결되고, 몸의 정상적인 생명활동이 회복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하 내용은 의료법상 네이버 카페에서 열람 가능합니다.
※ 의료법상 카페 가입하신 분에 한해서, 전체 열람이 가능합니다.
당뇨약인 메트포르민 복용 중에도 당화혈색소 수치가 6.2%이셨습니다.
약에만 의존하고 근본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, 약의 용량과 종류만 증가할 뿐입니다.
이후에도 정기적인 내원과 및 추적 관찰, 상담 치료, 식단 교육 및 관리를 통해 건강한 습관을 유지하고, 회복한 건강함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계십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의료법 제56조(의료광고의 금지 등)
① 의료기관 개설자, 의료기관의 장 또는 의료인(이하 "의료인등"이라 한다)이 아닌 자는 의료에 관한 광고(의료인등이 신문·잡지·음성·음향·영상·인터넷·인쇄물·간판,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의료행위, 의료기관 및 의료인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나타내거나 알리는 행위를 말한다. 이하 "의료광고"라 한다)를 하지 못한다. <개정 2018.3.27>
② 의료인등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의료광고를 하지 못한다. <개정 2009.1.30, 2016.5.29, 2018.3.27>
1. 제53조에 따른 평가를 받지 아니한 신의료기술에 관한 광고
2. 환자에 관한 치료경험담 등 소비자로 하여금 치료 효과를 오인하게 할 우려가 있는 내용의 광고